[편집자주]여행과 여행시장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여행사는 기존 중개 서비스업 개념에서 IT업으로 교체가 이뤄지고 있다.

트렌드 변화도 빠르다. '욜로' '소확행' '워라밸' 등 질적인 삶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질 높은 여행을 즐기려는 수요가 늘고 있다. 이에 호캉스, 웰니스 등의 유형이 생겨나고 있다. 여행의 미래를 내다봤다.
 

© News1 이은현 디자이너

최근 여행 산업의 주도 세력은 서비스업 중심에서 정보기술(IT), 인터넷 중심의 새로운 강자로 바뀌고 있다.

국내 여행 시장을 해외 글로벌 온라인여행사(OTA) 혹은 '트래블 테크 회사'로 불리는 기업들이 장악하고 있는 것도 그 이유다. 이들은 패키지보다 개별여행을 선호하는 소비자 트렌드에 맞물려, 빠르게 개별여행객의 수요를 흡수했다.

이런 추세속에서 기존 고객 이탈현상이 심화하면서 국내여행사들도 플랫폼 갖추기에 나섰다. 정부에서도 국내를 대표할 글로벌 OTA 육성에 대한 의지도 내비쳤다.

여행업의 IT화가 결코 이른 판단이 아니라는 점은 여행업에 진출하려는 국내 대표 포털들의 움직임에서도 알 수 있다.

이들은 수많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여행상품을 판매한다면 여행시장을 공략할 수 있을 것으로 자신하고 있다.
 

해외 글로벌 OTA

◇글로벌 OTA의 경쟁은 웹에서 모바일로

익스피디아, 부킹닷컴, 트립닷컴, 스카이스캐너 등 막대한 자본력과 방대한 데이터를 보유한 글로벌 OTA들은 빠르게 국내 시장을 잠식 중이다.

이들은 자본력과 기술력, 인지도를 바탕으로 국내 개별여행시장 공략에 적극적이다. 방대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한 강력한 가격 경쟁력이 이들의 무기다.

특히 국내 여행사들이 웹 기반으로 영업을 할 때, 글로벌 OTA들은 IT를 바탕으로 모바일 플랫폼 개발에 집중했다.

부킹닷컴이 지난해 말 전 세계 31개국 18세 이상 여행객 5만3000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여행 트렌드'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은 숙박 예약 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의존율이 가장 높은 그룹 중 하나였다.

이러한 트렌드를 발 빠르게 파악한 글로벌 OTA들은 편리한 이용자 접근성(UX·UI)을 갖춰 모바일에 익숙해진 여행자들을 끌어들였다.

항공편, 숙박, 액티비티, 입장권 등 이들이 제공하는 개별여행 상품만도 수백만 개에 달한다.

양박사 익스피디아 코리아 항공 담당 총괄 이사는 "수많은 선진 IT 기술이 집약된 모바일 앱은 글로벌 OTA의 또 다른 경쟁력"이라며 "앞으로 현지화를 위해 콜센터를 비롯해 다양한 고객 서비스 기술 부문의 혁신을 위해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외 OTA들은 원화결제 서비스는 물론 네이버페이, 삼성페이 등을 도입해 고객 편의성을 높였다. 한국어 상담이 가능한 고객센터도 24시간 운영한다. 이를 통해 현지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빠르게 대응한다.
 

이수진 야놀자 총괄대표. (야놀자 제공) © 뉴스1

◇국내 대표 글로벌 OTA 나올까?…신흥 주자의 등장

주요 종합 여행사들은 해외 온라인여행사(OTA)에 대응할 만한 플랫폼을 론칭하면서 이를 발판삼아 추세 반등을 노리고 있다.

하나투어는 지난해에 여행 포털서비스인 '투어팁스'와 여행 패스 전문 플랫폼인 '모하지'를 론칭 했다. 노랑풍선도 고객 친화형으로 홈페이지를 전면 개편했다. 또 새로 구축 중인 OTA 플랫폼 사업을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노랑풍선 관계자는 "해외 글로벌 OTA와 분명히 차별성 있고 기존 여행업의 본 비즈니스와 연계된 우리만의 단독 체제로 운영할 것"이라며 "내년에 IT 기술에 100억원 투자 계획도 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종합여행사보다 먼저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신흥 강자들이 있다. 모두 IT 기반으로 시작한 기업들이다.

야놀자는 최근 글로벌 OTA 플랫폼으로 도약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를 위해 야놀자는 중국 최대 OTA 씨트립, 일본 라쿠텐 라이풀 스테이, 동남아 중소형 호텔 체인 젠룸스, 유럽 최대 규모 호스텔 플랫폼 호스텔월드 등과 제휴했다.

게다가 야놀자는 싱가포르투자청(GIC)과 글로벌 여행 서비스 기업 부킹홀딩스로부터 1억8000만 달러(약 2130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를 끌어냈다. 이와 부킹홀딩스와 전략적 파트너십(MOU)를 맺어 글로벌 경쟁력도 확보하게 됐다.

토종 OTA로 평가 받는 곳으로는 마이리얼트립이 있다. 기존에 현지 투어, 액티비티, 입장권, 교통패스, 에어텔, 렌터카 등의 상품 중개를 해왔다면 최근엔 최저가 해외 항공권 및 100만개 호텔 예약 서비스도 새롭게 선보이고 있다.

마이리얼트립은 지난해 100억원의 월거래액을 최초 달성한 직후 6개월과 4개월만에 각각 200억원과 300억원의 월 거래액을 빠른 속도로 돌파했다. 올해 목표 연간 거래액은 5000억원이다.
 

카카오의 캐릭터 '카카오 프렌즈' 모습

◇구글·네이버·카카오 등 국내 포털의 여행업 진출

한 여행업계 관계자는 "전 세계 OTA가 벌벌 떠는 대상이 구글"이라며 "구글이 본격적으로 여행업에 뛰어들고 현지화에 성공하면 여행 시장을 장악하는 것은 시간 문제라고 예측한다"고 말했다.

지난달 세계 최대 인터넷 검색 서비스 회사인 구글(Google)은 모든 여행 서비스를 통합시킨 서비스인 '구글 트립'(Google Trips)의 개설을 알렸다.

구글트립은 여행 계획부터 항공편, 호텔 및 여행 상품 예약 등을 한 페이지를 담은 서비스다. 앞으로 구글은 '구글 지도'를 여행, 식사, 행사, 스파 예약 등을 위한 '슈퍼 애플리케이션'으로 키울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네이버와 카카오도 구글만큼 적극적이진 않지만, 이미 여행업에 발을 들였다. 네이버는 호텔, 항공, 현지투어에 이어 패키지 여행 메타 서치(가격 비교) 서비스를 이달 내에 시작한다. 공식 명칭은 '네이버 패키지 여행'이다.

네이버 패키지 여행은 입점한 여행업체들이 자유롭게 형식에 맞는 상품을 등록하고 판매하는 식으로 운영된다. 현재까지 입점한 패키지 여행사는 6곳으로 추후에 추가될 가능성이 높다.

카카오도 차츰 온라인 여행 서비스 확장에 나서고 있다. 카카오는 2017년부터 항공 가격 비교 서비스를 베타로 제공하는 가운데, 지난 3월엔 300억원대에 여행업체 지분을 인수했다.

카카오가 지분 28.9%를 347억원에 인수한 타이드스퀘어는 온라인 여행 예약 서비스 '현대카드 프리비아'를 운영 중이다.

한편, 여행업에서 IT 기술 중에서도 간편 결제 서비스인 페이 시장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 한 온라인여행사 관계자는 "온라인 사업이 강화되면서 어느 때보다 고객 결제정보의 가치가 높아졌다"며 "간편 결제 시장의 성장성이 큰데다 고객 빅데이터까지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웨딩2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