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에 따르면 산림청(청장 김재현)은 벌채(목재생산)사업에 대한 사회 구성원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전문조사 기관인 갤럽을 통해 일반국민 1,05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화조사 결과를 12월 12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 결과 벌채(목재생산) 용어를 알고 있다고 한 응답자의 비율이 55.2%로, 전체 국민의 과반 수 이상을 차지했다.

특히, 지역규모가 작을수록, 연령대가 높을수록 인지비율이 높았으며, 벌채(목재생산) 용어를 아는 응답자 중 벌채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로 ‘나무 베는 것, 자르는 것’(19.6%)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평소 벌채(목재생산)에 대한 느낌에 대해 ‘긍정적’이라는 응답이 25.7%, ‘부정적’이라는 응답이 28.3%로 부정적 의견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종이 및 목제품 생산을 위한 벌채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2.0%가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지역규모가 클수록 부정적인 응답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는데, 부정적인 응답자의 71.3%는 그 이유로 ‘산림 생태환경 파괴’를 꼽았다.

전체 응답자의 72.2%는 벌채(목재생산) 관련 정책 수립 시 ‘환경(파괴, 훼손 등 방지)’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응답하여 벌채에 의한 환경 파괴를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국민의 66.3%는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목재 대부분이 수입산이라는 사실을 ‘안다’고 응답한 반면 벌채(목재생산)를 주로 목재생산림에서 한다는 사실의 인지비율은 27.2%, 탄소 저장 등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인지비율은 31.4%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노령화된 나무보다 벌채 후 새로운 나무를 심으면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2배 정도 늘릴 수 있으며, 생산된 목재는 건축 및 가구 등 제재목으로 활용 시 50년 이상 탄소를 저장이 가능하다.

향후 지속가능한 벌채(목재생산)를 위해서 가장 필요한 사항으로는 ‘산림생태를 고려한 친환경 벌채’(55.6%)를 가장 많이 꼽았고, 향후 국산목재의 이용 확대를 위해서는 ‘국산목재에 대한 인식 확산’(42.7%), ‘다양한 목재제품 생산·이용’(24.2%)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한창술 산림자원과장은 “종이와 목제품은 우리 생활의 필수품”이라며 “이번 벌채 관련 국민인식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국산목재를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산림자원 순환체계 구축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웨딩2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