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경력단절여성 현황'

지난해 경력단절여성이 2014년 통계 작성 이래 최저를 기록했다. 매년 줄어드는 인구감소 현상과 더불어 육아와 결혼, 그리고 출산이 주된 원인이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 경력단절여성 현황에 따르면, 2020년 4월 기준 15~54세 경력단절 여성은 경력단절여성은 150만 6천명으로 전년대비 19만 3천명(-11.4%) 감소하였고, 15~54세 기혼여성 대비 경력단절여성 비중은 17.6%로 1.6%p 하락하였다.

이러한 경력단절여성 비율은 2014년 통계작성 이래 최저 수치이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주요 사항은 아래와 같다.

▶ 2020년 경력단절여성 현황

▷ 경력단절여성 규모 및 시도별 현황

2020년 4월 기준 15~54세 기혼여성은 857만 8천명, 비취업여성 비취업여성은 342만명으로 나타났다.

18세 미만 자녀수별 경력단절여성은 자녀수 2명이 60만 5천명(48.7%)으로 가장 많았으며,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경력단절여성이 76만 5천명(61.6%)으로 가장 많았다.

경력단절여성 중 구직단념자는 1만 2천명으로 전년대비 2천명(16.3%) 증가하였고.
- 경력단절여성 대비 구직단념자 비중은 0.8%로 전년 대비 증가(0.2%p)하였다.

17개 시도별 경력단절여성은 제주(1천명, 6.7%), 전북(2천명, 4.6%) 등에서 증가하였고, 경기(-7만 3천명), 서울(-6만 8천명) 등에서는 감소하였다.

▷ 경력단절 사유

경력단절여성이 직장(일)을 그만둔 사유는 육아(42.5%), 결혼(27.5%), 임신·출산(21.3%), 가족돌봄(4.6%), 자녀교육(4.1%) 순으로 나타났다.

▷ 경력단절 기간(직장을 그만둔 시기)

경력단절여성의 경력단절기간은 10~20년 미만(27.0%), 5~10년 미만(24.1%), 3~5년 미만(13.7%), 1년 미만(12.7%), 1~3년 미만(11.9%), 20년 이상(10.7%) 순으로 나타났다.


▶ 2020년 경력단절여성 현황

1. 경력단절여성 규모 및 현황

가. 경력단절여성 규모

2020년 4월 기준 15~54세 기혼여성은 857만 8천명, 비취업여성은 342만명으로 나타났다.

이 중 경력단절여성은 150만 6천명으로 전년대비 19만 3천명(-11.4%) 감소하였고, 15~54세 기혼여성 대비 경력단절여성 비중은 17.6%로 1.6%p 하락하였다.

※ 25~54세 기혼여성은 853만 4천명으로 이 중 비취업여성은 338만 8천명이며, 경력단절여성은 149만 5천명으로 25~54세 기혼여성의 17.5%를 차지하였다.

나. 연령계층별 경력단절여성

경력단절여성(150만 6천명)을 연령계층별로 살펴보면,

- 30~39세가 69만 5천명(46.1%)으로 가장 많았으며, 40~49세(58만명, 38.5%), 50~54세(13만 4천명, 8.9%), 15~29세(9만 7천명, 6.4%) 순으로 나타났다.

- 기혼여성 대비 경력단절여성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난 연령계층은 30~39세로 28.4%를 차지하였으며, 50~54세는 6.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 비취업여성 대비 경력단절여성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난 연령계층은 30~39세로 63.1%를 차지하였으며, 50~54세는 18.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다. 18세 미만 자녀수 및 연령별 경력단절여성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경력단절여성은 124만 2천명, 경력단절여성 비중은 25.8%*로 나타났고, 18세 미만 자녀가 없는 경력단절여성은 26만 4천명, 경력단절여성 비중은 7.0%**로 나타났다.

*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15~54세 기혼여성 대비 비중
** 18세 미만 자녀가 없는 15~54세 기혼여성 대비 비중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경력단절여성을 자녀수별로 살펴보면, 자녀수 2명이 60만 5천명(48.7%)으로 가장 많았으며, 1명 50만 9천명(41.0%), 3명 이상 12만 8천명(10.3%) 순으로 나타났다.

18세 미만 자녀연령별 경력단절여성 규모를 살펴보면,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경력단절여성이 76만 5천명(61.6%)으로 가장 많았으며, 7~12세 33만 5천명(27.0%), 13~17세 14만 2천명(11.4%) 순으로 나타났다.

라. 구직단념자

경력단절여성(150만 6천명) 중 구직단념자는 1만 2천명으로 전년대비 2천명 증가하였다.

경력단절여성 중 구직단념자가 구직활동을 하지 않은 이유를 살펴보면, ‘근처(주변)에 일거리가 없었거나 없을 것 같아서’가 6천명(52.1%)으로 가장 많았다.

2. 시도별 경력단절여성

가. 시도별 경력단절여성 규모

17개 시도별 경력단절여성 규모(150만 6천명)를 전년과 비교해 보면, 경력단절여성은 제주(1천명, 6.7%), 전북(2천명, 4.6%) 등에서 증가하였고, 경기(-7만 3천명, -14.1%), 서울(-6만 8천명, -22.7%) 등에서는 감소하였다.

나. 시도별 경력단절여성 비중

시도별 15~54세 기혼여성 대비 경력단절여성 비중을 전년과 비교해보면, 대구(1.5%p), 전북(1.2%p) 등에서 상승하였으나, 서울(-3.6%p), 세종(-3.3%p) 등에서는 하락하였고 비취업여성 대비 경력단절여성 비중은 세종(-9.9%p), 경기(-9.1%p) 등 전 지역에서 하락하였다.

3. 경력단절 사유

가. 경력단절 사유

경력단절여성(150만 6천명)이 직장(일)을 그만둔 사유를 살펴보면,

육아 64만명, 결혼 41만 4천명, 임신·출산 32만 1천명, 가족돌봄 6만 9천명, 자녀교육 6만 2천명 순으로 나타났고 결혼(-10만 8천명, -20.7%), 임신·출산(-6만 3천명, -16.4%), 육아(-9천명, -1.4%), 자녀교육(-7천명, -10.0%), 가족돌봄(-6천명, -7.9%) 순으로 전년대비 감소하였다.

나. 연령계층별 경력단절 사유

경력단절여성(150만 6천명)의 경력단절 사유를 연령계층별로 살펴보면,

15~29세는 육아(37.4%), 임신·출산(32.6%), 결혼(28.1%) 순
30~39세는 육아(48.5%), 임신·출산(24.0%), 결혼(23.7%) 순
40~49세는 육아(39.7%), 결혼(29.9%), 임신·출산(18.5%) 순
50~54세는 결혼(36.8%), 육아(26.7%), 가족돌봄(20.7%) 순으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 취업자의 경력단절 경험

▷ 15~54세 기혼여성 중 취업자(515만 8천명)의 경력단절 경험을 살펴보면,

결혼, 임신·출산, 육아, 자녀교육, 가족돌봄 때문에 직장(일)을 그만둔 적이 있는 경험자는 214만 1천명으로 전년대비 7만 3천명(-3.3%) 감소하였다.

직장(일)을 그만둔 사유는 결혼 31.6%, 임신‧출산 29.4%, 가족돌봄 17.0%, 육아 14.7%, 자녀교육 7.3% 순으로 나타났다.

전년대비 임신·출산(-5만 3천명, -7.8%), 결혼(-4만 2천명, -5.9%), 자녀교육(-8천명, -4.7%)로 경력단절을 경험한 경우는 감소하였으나, 가족돌봄(1만 6천명, 4.5%), 육아(1만 4천명, 4.8%)는 증가하였다.

▷ 취업자의 경력단절 경험 사유를 연령계층별로 살펴보면,

15~29세는 결혼(48.4%), 임신·출산(33.5%), 육아(13.7%) 순
30~39세는 임신·출산(40.1%), 결혼(29.0%), 육아(20.1%) 순
40~49세는 결혼(31.0%), 임신·출산(28.2%), 가족돌봄(16.8%) 순
50~54세는 결혼(33.8%), 가족돌봄(29.5%), 임신·출산(20.6%)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4. 경력단절 기간

가. 경력단절 기간

경력단절여성(150만 6천명)의 경력단절 기간을 살펴보면,

10~20년 미만(40만 7천명, 27.0%), 5~10년 미만(36만 2천명, 24.1%), 3~5년 미만(20만 6천명, 13.7%), 1년 미만(19만 1천명, 12.7%), 1~3년 미만(17만 9천명, 11.9%), 20년 이상(16만명, 10.7%) 순으로 나타났다.

그만둔 지 20년 이상(1만 7천명, 11.8%), 10~20년 미만(4천명, 0.9%)은 전년대비 증가하였으나, 10년 미만에서는 모두 감소하였다.

이 중 1~3년 미만(-8만 5천명, -32.2%), 3~5년 미만(-5만 9천명, -22.3%)이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나. 연령계층별 경력단절 기간

경력단절여성(150만 6천명)의 경력단절 기간을 연령계층별로 살펴보면, 

15~29세는 1~3년미만(30.7%), 1년미만(24.5%) 순
30~39세는 5~10년미만(33.6%), 3~5년미만(19.6%) 순
40~49세는 10~20년미만(46.3%), 5~10년미만(17.4%) 순
50~54세는 20년이상(59.2%), 10~20년미만(16.7%) 순으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저작권자 © 웨딩2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